생물의 분류 단계

중학교 1학년/3. 생물의 다양성

2018. 7. 19. 17:33

안녕하세요.

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는 달빛과학 입니다.



요크셔테리어, 비글, 리트리버 등 여러 종의 예쁜 개들의 사진입니다. 이렇게 생김새에 따라서 종을 구분하죠. 생물학자들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가지 생물들을 단계별로 나누어 연구하고 있답니다. 기초적인 생물의 분류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 생물의 분류



생물 분류 기준

생물을 분류할 때는 생물이 가진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사람마다 다른 기준으로 분류한다면 생물을 분류하는 의미가 없어지겠지요.

▶ 생물 분류의 기준

생김새, 유전자, 번식 방법(ex. 새끼, 알), 몸의 구조(ex. 척추의 유무), 광합성 여부 등



생물 분류의 목적

생물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면 지구에서 사는 생물을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같은 범위에 속하는 생물의 고유한 특징을 알 수 있고, 만약 새로운 생물을 발견한다면 기준에 따라 분류해서 연구할 수 있겠죠. 결국 생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생물의 분류 단계

중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생물의 분류 단계는 7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단계의 이름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아요.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종' 단계가 가장 기본 단위이고 '계' 단계로 갈수록 범위가 넓어집니다. 이 7단계 이름과 순서는 암기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개'를 예로 들어서 각 단계를 설명하도록 할게요.




1) 종 [species, 種] - 개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입니다. 그림에서 개 종에는 늑대(wolf)와 개(dog)가 있네요.

종을 구분하는 기준은 '번식이 가능한 자식을 낳을 수 있는가'입니다. 많이 예로 드는 동물이 말과 당나귀입니다. 



암말과 수컷 당나귀는 서로 짝짓기를 하여 새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그 새끼를 노새(mule)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노새는 번식 능력이 없어서 새끼를 낳지 못합니다. 즉 말과 당나귀는 '번식 능력이 있는 새끼를 낳을 수 없기 때문'에 같은 종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속 [genus, 屬] - 개 속

가까운 종에 속하는 생물들을 모아 '속' 단계로 분류합니다. 자칼(jackal)과 개는 다른 종이지만 같은 속 단계에 속하겠네요. 



3) 과 [family, 科] - 개 과

여러개의 속에 속하는 동물을 모아서 '과' 단계로 묶습니다. 영어로 family라고 부를 정도로 가까운 사이죠. 여우(fox)가 추가 되었네요.



4) 목 [order, 目] - 식육목

조금 더 넓어진 단계가 나왔습니다. 식육목(Carnivora) 단계입니다. 이 단계가 되면 이제 생김새 보다는 생물의 먹이 습성을 기준으로 나누게 되네요. 이 동물이 육식을 한다면 식육목으로 분류를 하는 것입니다. 고양이(cat)가 식육목 단계에서 들어왔네요.



5) 강 [class, 綱] - 포유강

이제 목 단계보다 넓은 '강' 단계입니다. 포유강(Mammalia)에 속하는 동물들은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우는 동물을 포함합니다. 포유(哺乳)라는 뜻은 '젖을 주다'라는 뜻이죠. 사람도 포유강에 분류가 되겠네요. 토끼(rabbit)가 포유강 단계로 오면서 함께 분류가 되었습니다.



6) 문 [phylum, 門] - 척삭동물문

'척삭'이란 단어는 등뼈, 척추에 들어있는 신경을 말합니다. '척수'라고 부르죠. 즉 '척삭동물문' 단계에 속하는 동물은 척추를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물에서 사는 물고기(fish)가 이 단계에 추가가 된 것입니다. 점점 범위가 넓어지고 있지요?



7) 계 [kingdom, 界] - 동물계

생물의 분류 단계 중 가장 큰 단위입니다. 곤충(insect)이 가장 큰 단계인 '계' 단계에 추가가 되었습니다.


생물을 분류하는 '계'단위는 동물계, 식물계, 균계, 원생생물계, 원핵생물계가 있습니다. 이 다섯가지 계에 대해서는 다음 학습자료를 통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자, 다시 한 번 그림을 보면서 단계별로 이해해볼까요?




생물 분류 단계와 관계

생물 분류 단계를 보면 생물학적으로 개와 늑대는 아주 가까운 관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와 고양이는 같은 식육목에 속하지만 다른 과에 속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먼 관계이고요. 이렇게 일정한 기준으로 생물을 단계별로 나누면 생물학적으로 가깝고 먼 관계를 알 수 있답니다.



생물의 분류 단계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각 단계의 포함 관계만 이해하고 있으면 큰 어려움 없이 과제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실거에요. 다시 한 번 체크하고 암기해봅시다 ^^


종 < 속 < 과 < 목 < 강 < 문 < 계




*** 우리, 친하게 지내요


- 달빛과학을 찾아주시는 분들과 친해지고 싶습니다.

- 학습 자료에 대한 질문, 궁금한 점, 건의사항이 있으시다면 댓글방명록메일을 이용해 주세요.

- dalvitjeju@naver.com (달빛제주 at 네이버)

-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이 더욱 좋은 학습 자료를 만드는데 힘이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페이지로 놀러오세요



달빛과학은 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은 발행되자마자 페이스북 페이지에 업로드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좋아요'를 클릭하시고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을 바로바로 받아보세요! 



'중학교 1학년 > 3. 생물의 다양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의 5계  (45) 2018.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