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도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는 달빛과학 입니다.
중생대에 존재했던 비행 파충류, 익룡의 화석입니다.
현재는 익룡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화석을 통해 익룡의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죠.
여기서 '화석'을 백과사전에서 찾아보았습니다.
▶ 화석 [fossil, 化石 ]
지질시대의 퇴적암 안에 퇴적물과 함께 퇴적된 동식물의 유해나 흔적을 화석이라고 한다.
출처: 두산백과
그렇습니다.
'화석'은 이번 시간에 배울 퇴적암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화성암과 변성암에는 화석이 존재하지 않거든요.
자, 이제 퇴적암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 퇴적암 [sedimentary rock, 堆積岩 ]
- 한자 뜻 풀이: 쌓다 堆, 쌓다 積, 바위 岩
- 많은 물질이 물과 바람에 의해 옮겨져 쌓인 후 오랜 시간동안 다져지고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
1) 퇴적물의 운반
; 풍화, 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물질들이 물, 바람, 빙하 등에 의해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옵니다.
2) 퇴적층의 생성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퇴적물이 계속 쌓이면 쌓인 물질에 따라서 퇴적층이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아래쪽 퇴적층은 계속 쌓이는 위쪽 퇴적층에 의해서 다져지게 되겠지요.
이런 과정으로 여러 겹으로 쌓인 줄무늬가 생기게 되는데 이 무늬를 '층리'라고 합니다.
3) 퇴적암의 생성
; 강이나 바다에 녹아 있던 광물들이 다져진 퇴적물 입자 사이에 들어가고 오랜 시간동안 굳어져 퇴적암이 만들어집니다. 퇴적물의 종류에 따라서 퇴적암의 종류도 달라지겠지요.
4) 화석이 생기는 이유
; 퇴적층 사이사이에 죽은 동물, 식물이 함께 뭍히게 되는데 이 흔적을 화석이라고 합니다. 퇴적암을 구성하는 퇴적물과 화석을 분석해서 그 시대의 환경을 알아낼 수 있겠죠.
■ 퇴적암의 특징 ★
퇴적 작용으로 생성되는 퇴적암은 두 가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꼭 암기하도록 합시다!
▶ 퇴적암 특징 2가지
1) 층리
2) 화석
*** 퇴적암의 종류
퇴적물의 종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퇴적암이 만들어집니다.
■ 퇴적물의 '크기'에 따른 분류
▶ 역암 [conglomerate, 礫岩]
- 한자 뜻 풀이: 자갈 礫
- 크기 2mm 이상인 입자가 많은 암석
- 퇴적물 구성: 자갈 + 모래 + 진흙
▶ 사암 [sandstone, 砂岩]
- 한자 뜻 풀이: 모래 砂
- 1/16mm ~ 2mm의 입자가 많은 암석
- 퇴적물 구성: 모래 + 진흙
▶ 셰일 [shale]
-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은 암석
- 층과 나란히 떨어져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퇴적물 구성: 진흙
■ 퇴적물의 '종류'에 따른 분류
▶ 석회암 [limestone, 石灰岩] - 석회물질
- 탄산칼슘을 주로 함유하는 물질을 '석회(石灰)'라고 하는데, 이런 석회 물질로 이루어진 암석입니다.
▶ 응회암 [Tuff, 凝灰岩] - 화산재
- 한자 뜻 풀이: 뭉칠 凝, 재 灰
- 한자 뜻 처럼, 화산재가 쌓인 퇴적암
▶ 암염 [Halite, 岩鹽] - 소금
- 한자 뜻 풀이: 돌 岩, 소금 鹽
- 소금으로 이루어진 퇴적암
지금까지 퇴적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퇴적암의 특징(층리, 화석)과 퇴적물의 종류에 따른 퇴적암을 연결해 공부하세요 ^^
그럼 다음 시간에는 변성암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우리, 친하게 지내요
- 달빛과학을 찾아주시는 분들과 친해지고 싶습니다.
- 학습 자료에 대한 질문, 궁금한 점, 건의사항이 있으시다면 댓글, 방명록, 메일을 이용해 주세요.
- dalvitjeju@naver.com (달빛제주 at 네이버)
-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이 더욱 좋은 학습 자료를 만드는데 힘이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페이지로 놀러오세요
- 달빛과학은 제주도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은 발행되자마자 페이스북 페이지에 업로드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좋아요'를 클릭하시고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을 바로바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