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학 용어 이해하기

중학교 3학년/6. 유전과 진화

2016. 9. 26. 11:54

안녕하세요.

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는 달빛과학 입니다.



6단원에서는 생명과학의 분야인 '유전학'에 대해서 배웁니다.

유전학을 학습하게 되면 생소한 용어들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 용어들을 잘 이해하지 않고 공부하게 되면 유전학이 매우 어려운 학문이 될거에요.

이번 시간에는 유전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하나하나 이해해볼겁니다.


그 전에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유전, 유전자, DNA, 염색체에 대해서 공부하고 오시면 더 좋겠네요.





■ 유전 형질 [遺傳 形質, genetic character]

- 한자 뜻: 형태 形, 바탕 質

어떤 생물이 가지고 있는 모양이나 속성을 말합니다.

완두콩의 모양이나 색깔, 사람 눈동자의 색깔 등 유전 형질은 무수히 많습니다. 

유전 형질은 유전자에 의해서 정해지고 생물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생물은 이런 유전자를 한 쌍 가지고 있는데요, 이 유전자는 상동염색체의 일정한 위치에 존재합니다.



 상동 염색체 [相同 染色體, homologous chromosome]

- 한자 뜻: 서로 相, 같다 同

생물의 세포에 들어있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두 개의 염색체입니다.

수정 과정을 통해 하나는 부계(아빠), 나머지 하나는 모계(엄마)로부터 각각 물려받은 것입니다.



 대립 형질 [對立 形質, allelomorphic character]

- 한자 뜻: 대하다 對, 서다 立

같은 종류의 형질에 대해 서로 확실히 대비되는 형질입니다.

완두콩을 예로 들자면, 모양(둥근 모양 - 주름진 모양), 색깔(황색 - 초록색) 등이 대립 형질입니다.

상동 염색체에서 동일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대립 유전자'에 의해 나타나는 형질입니다.


다음 시간에 배울 멘델이라는 과학자가 실험한 원두의 대립형질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대립 유전자 [對立 遺傳子, allele chromosome]

상동 염색체의 같은 위치에 있는 유전자로서, 대립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입니다.

완두콩 모양을 결정하는 대립 유전자가 상동 염색체 상에 있는 그림을 그려보면 아래와 같아요.



 우성 [優性, dominance]

- 한자 뜻: 뛰어날 優, 성질 性

한 쌍의 대립 유전자 중 겉으로 더 잘 드러나는 한 유전자의 특성을 말합니다.

완두콩 모양을 예로 들자면 둥근 모양의 유전자와 주름진 모양의 유전자가 상동 염색체에 있을 때 이 완두콩의 겉으로 드러나는 모양은 둥근 모양이 됩니다. 이럴 때 둥근 모양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우성'이라고 합니다.



 열성 [劣性, recessive]

- 한자 뜻: 못할 劣, 성질 性

한 쌍의 대립 유전자 중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유전자의 특성입니다. 우성과 대비되는 개념이죠.



우성은 우수한 형질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열성이라고 안좋은 형질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두 개의 대립 유전자가 있을 때 겉으로 드러나게 되는 형질을 우성, 그렇지 않은 것을 열성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에서 실수하지 않도록 하세요 ^^



 유전자형

유전자 구성을 알파벳 기호로 나타낸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부터 우성의 유전자형을 대문자로, 열성의 유전자형을 소문자로 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완두콩 모양으로 예를 들어볼게요.

완두콩 모양의 대립 형질은 둥근 모양 - 주름진 모양인데요, '둥글다'라는 영어 단어인 Round의 첫 글자를 따서 유전자형을 표시합니다.

우성 형질인 둥근 모양의 유전자는 대문자인 'R', 열성인 주름진 모양의 유전자는 소문자인 'r'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완두콩 색깔의 대립형질도 '황색'의 영어 단어인 Yellow의 첫 글자를 따서 우성인 황색은 'Y', 열성인 초록색은 'y'로 나타냅니다.



 표현형

유전자 구성에 따라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표현형이라고 합니다.

그림으로 보는 것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을거에요.




 순종잡종

한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의 구성이 같은 것을 순종, 다른 것을 잡종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이해해봅시다.

완두콩에 두 가지 형질이 있습니다.

모양을 결정하는 형질 - 둥근 모양(우성) R, 주름진 모양(열성) r

색깔을 결정하는 형질 - 황색(우성) Y, 초록색(열성) y


이 형질들을 조합해서 순종과 잡종의 유전자형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순종의 예: RR, YY, rr, yy, RRYY, RRyy, rrYY, rryy

잡종의 예: Rr, Yy, RrYY, RrYy, Rryy, rrYy



 자가 수분타가 수분

다음시간에는 멘델이 완두콩 재배를 통해 알아낸 유전 법칙에 관해 배웁니다.

이렇게 식물을 이용해 유전 실험을 할 때 꽃에 있는 수술의 꽃가루를 꽃에 있는 암술에 뭍히는 과정을 '수분'이라고 하는데요.


자가(自家, 스스로 自, 가족 家) 수분은 같은 그루의 꽃에 있는 꽃가루와 암술을 이용한 수분이고,

타가(他家, 다를 他, 가족 家) 수분은 다른 그루의 꽃에 있는 꽃가루와 암술을 이용한 수분입니다.

우리가 배울 실험에서는 자가 수분을 자주 이용하게 됩니다.




이제 유전학 용어에 대한 설명이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이 지식을 가지고 다음 시간부터는 '멘델의 유전 법칙'을 시작으로 유전학을 공부해보겠습니다.

유전학 용어를 여러번 보고 이해해서 매끄럽게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합시다 ^^




*** 우리, 친하게 지내요


- 달빛과학을 찾아주시는 분들과 친해지고 싶습니다.

- 학습 자료에 대한 질문, 궁금한 점, 건의사항이 있으시다면 댓글방명록메일을 이용해 주세요.

- dalvitjeju@naver.com (달빛제주 at 네이버)

- 여러분의 관심과 응원이 더욱 좋은 학습 자료를 만드는데 힘이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페이지로 놀러오세요



달빛과학은 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그룹 과학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은 발행되자마자 페이스북 페이지에 업로드 됩니다.

- 달빛과학 페이스북 '좋아요'를 클릭하시고 달빛과학의 새로운 자료들을 바로바로 받아보세요!